공지사항·소식

공지사항·소식

목우회 안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master
댓글 0건 조회 1,206회 작성일 21-06-04 19:36

본문

f8bee1934ac8f8d73ec0d9f8330152f3_1622803077_0901.jpgf8bee1934ac8f8d73ec0d9f8330152f3_1622803180_1658.jpgf8bee1934ac8f8d73ec0d9f8330152f3_1622803321_427.jpgf8bee1934ac8f8d73ec0d9f8330152f3_1622803459_0146.jpg


한국의 구상미술과 함께한 목우회 50년 


1950년대는 우리 미술사에서 '한국현대미술'의 기점으로 설정되어있지만, 실상은 한국 근대미술이 현대미술로 넘어가는 이행과정에서 자생적 의지보다는 서양화단에 종속된 오래적 여향에 의한 한계를 가졌던 과도기였다. 일제가엄기인 1930년 이종우, 박득순, 도상봉, 이병규,이미동,김응진,황술조 등으로 이루어진 동미회가 계몽적 신미술운동 그룹을 표방하며 등장했지만 앞선 생과과 사라진 민족문화를 일으키기는 역부족이었다.
 
이어서 1950년대에 유입된 서구 아방가르드의 영향으로 모더니즘 계열이 태동하면서 국내 미술화단에서도 새로운 경향의 추상미술을 표방하는 다수의 현대 미술 그룹이 출현하고 한국미술의 분위기는 진보적인 성향으로 균형이 기운다. 이 흐름이 일본 동경미술학교의 유학생으로부터 싹트기 시작했기 때문에 몇몇 작가들은 친일 화가로 지탄 받기도 했으면 일본의 속박이 싫어서 절필하는 화가들이 속출하는 등 국내 화단은 한국성 정립에 대한 문제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된다.
혼란한 한국화단에 불어닥친 이런 급작스런 서구화 물결은 할궁의 정통적 화법론을 지켜나가던 작가나 사실계열작가들에게 불안감을 고조시켰고 한국적인 화화 양식을 정착 시키기위해 개인 창작열에만 빠져있던 리얼리즘 계열의 의식 있는 작가들이 목소리를 모으기 시작하였다. 
 
목우회의 탄생

동미회, 백만회, 목일회(牧日會- ㅡ후 牧時會)같은 모임을 통해 친목을 유지하며 당시의 힘든 미술계를 견뎌내던 이종우, 도상봉, 손응성, 이종무, 최덕휴,이병규,박득순,심형구,박희만,김인승,박상옥,이동훈,김종하,김형구,임직순 등 서양화 1세대작가들이 의기투합하기에 이른다.
 
그당시 덕수궁 미술관앞 오래된 나무그늘아래서 여러 작가들이 한국화단 이야기를 나누던 중에 이종우(초대회장)선생이 우리도 서로의 힘을 나눌 수 있고 또 미래사실구상미술의 발전을 생각하며 "사실작가회"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그 자리에 있던 이병규(초대부회장)선생의 "나무그늘을 벗하여 앉았으니 묵우회라고 합니다"라는 말이 바로 반세기를 이어온 <<목우회>>의 탄생이 되었다.
 
창립 이후 목우회는 1958년 중앙 공보관에서 열린 제 1회 회원전을 시작으로 이후 매년 1회내지 2회에 걸친 꾸준한 회원전을 이어오면서 혼란스런 시대 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오로지 한국 미술찾기에만 집중했다. 1963년, 신진 작가 발굴이라는 또 다른 개념의 미술발전 계획을 진행 시키게 된다.
 
그 당시 어느 누구도 시도한지 않아었고 불가능에 가까워 보였지만 자생 미술단체로서는 최초로 구상(사실)미술 공모전을 실시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 다음해에는 제 1회 전국아동 및 남녀중고등학생 미술 실기대회를 열어 한국미술 백년대계의 길을 인도하는 역활을 하였다.
 
이렇게 해마다 정기전과 공모전을 통해 한국 구상미술의 발전상을 확인하였고 또 선도하여 온 결과 1970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시대를 열게 되었으며 지역 순회전도 병행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한 회원간의 의미와 사고의 도움을 위해 해마다 세미나를 개회 2001년에는 강정식의 회화수복 보존에 관한 강의를 통해 작품보전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었고 알파색채 전영탁 회정을 초대하여 미술재료학에 관한 또 다른 필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2002년 당시 굴깁현대미술관 관장으로 재직하였던 오광수 평론가를 초대하여 구상미술이 나아갈 방향이라는 주제로 미래 목우회원들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등 총 7회에 걸친 다양한 미술관련지식을 쌓아가고 있다.
 
그 외 목우회 자녀 우수 장학생 장학금 수여, 대한민국 국회대상, 충북 진천국과 자매결연, 북한어린이돕기 기금마련전등 우리나라 문화 예술인의 기량과 봉사, 헌신의 정신을 긴장감있게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반세기에 걸쳐 우리나라 구상화단의 활성화와 역량 있는 작가를 배출한 목우회가 창립 50주년을 회고하고 우리와 교역 120년주년을 맞이한 프랑스와의 상호교류와 렵력의 차원에서 프랑스 미술인협회 르싸롱과 <21세기 한국과 프랑스의 대표 구상작가 총람전>을 연다.
 
현재 세계미술계는 구상미술의 전성기가 도래했다고 말할 정도로 구상미술 붐이 일고 있다. 한국 화랑가 또한 젊은 구상작가들을 중심으로 구상 작품들이 상종가를 달리고 있다. 서구의 미술사조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거대하게 자본화된 미술시장에서 우리구상미술의 리얼리즘을 꿋꿋하게 지켜나간다는 것은 사실 쉽지 않다. 이는 공산주의라는 필연적 상황으로 인해 중국특유의 리얼리즘을 고수하다 전성기를 맞고있는 중국현대미술과는 비교할 수 없는 자기극복의지가 필요한 국내 미술화단의 현실인 것이다. 수많은 주변상황을 극복하고, 흡수하고, 자기화시키려는 노력은 순순한 창작열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국내화단의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목우회가 한국적 리얼리즘을 위해 공들인 반세기는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 그 가치는 세계미술시장에서의 성과가 미미하다고, 지금 당장 주목 받지 못한다고 해서 고귀하지 못한게 아니다.
 

뿌리가 단단하게 흙을 움켜지고 있을 때 걱정없이 쑥쑥 자라는 나무처럼 정통서의 확립이라는 뿌리가 토양에 단단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반세기에 걸쳐 지켜온 목우회의 노력이 앞으로 우리 구상미술을 세계에 우뚝 설 수 있게 하기를 기대해본다.